여주(5)
-
여주꽃, 유홍초꽃, 호박꽃이 핀 덩굴식물 지지대
친구따라 이웃 동네 행정복지센터에 갔다가 건물 앞의 덩굴식물들을 보고 잠깐 구경을 했습니다. 잘 돌보면서 키우는 것은 아닌 것 같고 대충 되는 대로 키우다 보니까 귀신나올 것 같은 모습이었습니다. 우선 여주덩굴이 보입니다. 여주의 노란 꽃이 피어 있는 것을 봐서 아직도 여주가 더 맺힐 것 같네요. 길쭉하게 익어가는 여주도 보입니다. 여주의 껍질은 공룡등껍질이 이렇게 생기지 않았을까?하는 상상을 하게 합니다. 여주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인도 동북부, 중국 남서부가 원산지가 아닐까 추정하고 있답니다. [열대의 과일자원]에 의하면, 여주가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자라기에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만 생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하지만 중부지방에 속하는 우리 동네에서도 이렇게 잘 자라고 있기에 수정이 필요한 대목입..
2022.10.02 -
여주, 수세미, 박, 풍선덩굴열매
시청터밭의 덩굴식물들이 자라는 곳, 완전히 정글처럼 우거져서 제맘대로 자라고 있네요. 풍선덩굴의 풍선같은 열매가 햇살을 받아 마치 등롱같아 보입니다. ('풍선덩굴'로 내부검색하시면 풍선덩굴의 열매와 덩굴 모습을 좀더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길게 자란 수세미도 있었지요. 대롱대롱 매달린 박 하나도 있군요. 여주가 노랗게 익어가고 있는 모습. 완전히 익어서 터진 여주들도 보입니다. 여주 씨앗이 정말 빨갛네요. 좀더 다가가서 선명하게 담고 싶었지만 실패. 더 흐릿하군요. 그늘진 곳의 여주는 아직 녹색입니다. 햇살 아래 여주잎이 예뻐요. 여러 덩굴식물이 뒤섞여서 자라고 있었지요. 사진 아랫쪽에 열매마의 잎사귀가 보입니다. 여주의 노란꽃도 보입니다. 그런데 열매마는 열리지 않았어요.
2021.09.14 -
배초향(방아), 박하, 수세미, 여주, 방울토마토
동네를 배회하면서 산책할 때는 꼭 시청의 작은 밭을 살펴보곤 합니다. 지난 번에는 적양배추, 비트, 방풍나물, 삼동파를 포스팅했었지요. 이번에는 또 다른 작물을 포스팅해보려합니다. 박하 역시 제가 무척 좋아하는 허브티의 재료인데요... 이 박하는 애플 민트는 아닌 것 같고... 어떤 민트인지...? 아무튼 햇살 아래 너무 잘 자라네요. 배초향은 어린 시절의 향수가 있는 허브입니다. 처음에 '배초향'이라고 해서 무슨 풀인지 금방 알아채지 못했지만 잎 냄새를 맡아보니 바로 '방아'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제 고향에서는 방아라고 불렀거든요. 큰 이모가 방아를 키워서 나눠준 적이 있는데, 어머니가 방아를 된장국에 넣어 주셨지요. 생전 처음 맛보는 맛이었는데, 그 향과 맛에 곧바로 매료되었답니다. 지금도 그..
2021.06.06 -
여주가 마침내 열리다
지난 7월 중순 여주덩굴에 작은 열매가 맺힌 것을 발견했었습니다. 얼마나 작은지... 끝에 아직도 꽃이 맺혀 있네요. 그런데 그 사이 장마비가 몇 차례 세차게 몰아치는 통에 꽃도 열매도 모두 떨어져 버렸지요. 날씨가 좋지 않아서, 햇살도 부족하고 장마비도 길어져서 여주가 달리지 않겠구나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7월말, 여주 열매가 쑥 자라 있는 것을 발견했지요! 열매가 하나도 아니고 무려 4개! 창에 바짝 붙어 있던 열매는 비바람을 무사히 피해서 무럭무럭 자랄 수 있었나 봅니다. 여주껍질이 꼭 공룡가죽같이 생겼다는 싶은데요. 공룡을 본 적은 없지만... (보충) 여주가 좀더 자랐네요.
2020.07.30 -
여주덩굴, 노란 꽃
여주 열매로 착각한 것이 알고 보니 오이였다는 사실에 새삼 놀라면서 포스팅을 수정합니다. 이 여주 덩굴은 지난 5일, 잠시 낮에 산책을 나갔다가 어느 아파트 화단에서 자라는 발견했습니다. 노란꽃이 피어 있었습니다. 여주의 노란꽃 대부분은 수꽃이고 소수의 암꽃이 핀다고 합니다. 자세히 보면 노란꽃의 꽃자루 아래 깔때기 같은 것이 보입니다. 깔대기모양의 것은 포입니다. 포는 꽃자루가 나오기 전에 나오는 것인데, 보통의 잎과는 차이가 납니다. 포의 모습이 귀엽게 생겨서 사진을 좀더 찍어보았습니다. 여주의 포는 꽃자루의 중앙이나 아래쪽에 달린다고 하네요. 열매는 찾지 못했습니다. 여주의 열매는 씨를 심은 지 50-70일이면 먹을 수 있는 미성숙한 열매가 달린다고 합니다. 씨를 심고 2달 정도를 기다리면 된다는 ..
2020.07.09